경제, 투자, 환율, 국제 정세

중앙은행의 디지털 화폐 (CBDC) 란?

HellloJay 2025. 5. 27. 21:00

얼마전 G7 재무 장관 회의 에서, 디지털 화폐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 것을 봤습니다.

 

처음에는 이게 가상화폐인 비트 코인 같은 건가?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찾아보니 완전 다른 개념이였습니다...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란?
CBDC는 **국가의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
쉽게 말해, **디지털 형태의 ‘진짜 돈’**이고, 종이화폐(지폐/동전)의 전자 버전.

1) 우리가 쓰는 원화, 달러처럼 '법정 통화(Legal Tender)'
2)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고 관리하므로 **가장 안전한 디지털 자산**
3)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현금 없이도 결제/송금 가능** 한 시스템.

*위챗페이, 카카오 페이 등과 같은 차이점은?

- 은행 계좌에 있는 돈을 앱으로 결제만 하는 것** (지갑 역할, 돈은 은행에 있음)

 

** 디지털 화폐 VS 비트코인 같은 ‘가상화폐’와의 차이점은?
1.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 국가 중앙은행 발행
- 법정 통화
- 변동성 거의 없음 (환율 수준)
- 공급량을 중앙은행이 통제 및 조절
- 금융포용성, 송금 효율성, 정책 도구를 위한 목표

 

2.비트코인 등 민간 가상화폐 
- 민간(개발자, 오픈소스 커뮤니티) 발행
- 법적 지위는 아직 없으며 자산으로 간주
- 변동성이 매우 큼 (투기성 자산)
- 공급량이 코드에 의해 자동 조절
- 탈중앙화, 가치 저장 등   

 


** 왜 각국이 CBDC를 도입하려고 할까?
1. 현금 사용 감소 : 디지털 결제가 보편화 (지폐는 점점 사라지는 중)
2. 결제 수수료 절감 : 카드사·핀테크 중개 없이 빠르게 송금 가능 (특히 해외송금)
3. 통화정책의 직접성 강화 : 금리 정책이 **소비자에게 직접 전파**되어 경기 대응 효과가 커짐
4. 민간 가상화폐에 대한 대응 : 스테이블코인, 비트코인 등 비국가 디지털 통화의 위협에 대응 가능
5. 불법 금융 차단 : CBDC는 **추적 가능**하기 때문에 자금세탁, 탈세, 테러 자금 등에 강함

 

** 각국의 디지털 화폐 사용 현황
1. 중국: 디지털 위안화 실제 사용 중 (테스트 → 시범도시 확대)
2. 스웨덴: ‘e-Krona’ 시험 단계, 현금 없는 사회 준비 중
3. 한국: 2단계 시범사업 완료 (2024), 향후 실사용 확대 가능성 있음
4. 미국/유럽: 프라이버시 우려와 정치적 갈등으로 속도 느림

 

** 향후 시사점
1. CBDC는 ‘새로운 화폐 경쟁의 시대’를 열고 있음
2. 현금이 사라지고, 정부 발행 디지털화폐가 기본 결제 수단이 될 가능성
3. 은행·카드사·핀테크 플랫폼 생태계에도 큰 변화 예상 (위챗페이·카카오페이 등)

 

 

** 개인적인 느낌
1. 사생활 보호 vs 금융 투명성 이슈

마치 예전의 금융실명제가 도입 되었을때와 같은 상황? 모든 거래가 기록되어 익명성 사라질 수 있음 (비상금도 못챙기게 됨)
범죄, 비리 관련에는 적합하지 않은 수단 (사과 박스에 있는 비자금?)

2. 중국의 디지털 화폐

중국이 벌써 시작했다는 사실이 인상적이였다. 공산 국가라 가능한 것인가.

 

#디지털화폐

#CB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