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을 보면 미래 경제가 보인다
저자- 임성수, 손원호
중동. 아직 미지의 지역이지만, 운이 좋아 두바이를 한번 출장으로 가게 된 적이 있었다.
그때 두바이에서의 일주일은 무언가 굉장히 신선하고 새로운 경험이였다.
이후 다시 가보고 싶은 곳 중의 하나인 중동인데,
이란 이라크 전쟁, 석유, 카타르 월드컵 정도가 아는
부분이고 이 외에는 아는 것이 별로 없는 막연한 곳이다.
그러다 우연히 이 중동 관련 책을 보고 아주 조금은 그들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책이 2022년 기준 정도이기에, 최근 상황을 찾아보고 반영하여, 대략 정리하였다.
여기에 내가 파고들만한 부분은 없을까?
** 사우디 아라비아
1. 사우디 자금의 원천: 석유, 국부 펀드 PIF
2. 고수익, 고위험의 사우디 공공 투자 펀드
- 2가지 방법 운영
국내 기업, 부동산, 인프라 건설 투자 / 해외 자산 투자
- 소프트뱅크비전펀드 (SVF) : 공공 투자 펀드 (PIF) & 소프트뱅크에서 출자한 세계최대 기술 투자 펀드
PIF는 소프트뱅크 비전펀드에 약 450억 달러를 투자하였으나, 투자 수익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해 손실을 입음
이에 PIF는 Vision Fund 2에 대한 추가 투자를 보류 중
3. 첨단 미래 도시 '네옴 (NEOM)'
- 2030의 핵심 사업 중 하나, 세계적인 과학 허브
- 초기 계획보다 지연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50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
- '더 라인(The Line)' 프로젝트
a) 거대한 거울 외벽을 갖춘 170km 수직형 직선 친환경 도시 (Linear Smart City)
b) 탄소 배출 제로, 자동차 없는 도시, 도보 생활권 내 모든 인프라 제공
c) 2024~2025년 일부 구간 기초 인프라 건설 및 기반 시설 작업 착수
4. 신재생에너지 사업: 수소 사업
- 제조업 기반과 기술력이 빈약하여 비석유 분야의 첨단 산업 육성에 현실적인 한계
5. 관광업 분야를 통한 일자리 창출 가능
- 중동에서 가장 보수적인 나라 / 주변국과의 갈등, 테리리즘에 따른 불안이 있음.
** 아랍에미리트 (UAE)
1. 스마트 정부 & 블록 체인 기술
- 블록 체인 기술을 공공 부분에 적극 도입 중
- 2025년 4분기에는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인 '디지털 디르함'을 출시할 예정 (25년 3월 기사)
2. 의료 산업 허브
- 해외 투자자를 위한 의료 산업 자유 무역지구
- 중동과 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3. 국방 산업
- 2009~2018년 무기 수입액 규모 세계5위
- 현재는 자체 생산 선호, 국방 기술 전수와 공동 생산 협력 기회 모색하고 있음.
4. 온라인 유통 비지니스
- 두바이몰 개발사 에마르 Emar 가 운영 중인 눈닷컴 Noon.com & 아마존이 인수한 수크닷컴 (Souq.com)을 통해 온라인 판매를 주도 하고 있음
5. 고정 환율
- 미국 달러화와 같은 운명. 하지만 달러화 가치 급락시, UAE 경제 더 큰 타격 가능
- 제조업 기반이 약하고 수입 의존도가 높아 이러한 리스크에 취약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중동을 보면 미래 경제가 보인다
나는 4시간만 일한다_팀 페리스 (6) | 2024.09.11 |
---|---|
쇼펜하우어_인생수업 (6) | 2024.08.28 |
사는 동안 한 번은 팔아봐라_서과장 (2) | 2024.08.21 |
부의 시나리오_오건영_Part1 (2) | 2024.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