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중 관세 협상과 그 속내

경제, 투자, 환율, 국제 정세

by HellloJay 2025. 5. 12. 23:00

본문

2018년, 20개월간 지속되었던 미국과 중국의 관세 협상과는 다르게, 

이번에는 좀더 신속하게 진행 될 것 같다는 이야기가 주말에 나왔다.

 

그리고 2025-05-12 저녁시간이 되자, 미국 & 중국의 협상 타결 기사가 계속해서 올라오기 시작하였다. 

 

미국이 이렇게 중국과 거래를 빨리 진행하는 이유는 뭐가 있을까.

 


1. 트럼프의 접근법

- 단순한 무역 불균형 해소가 아닌 포괄적 해결책 요구
- "중국의 대미무역흑자를 제로로 만들기" 목표
- "중국을 개방해서 미국이 중국에 들어가 일할 수 있게" 하는 구조적 변화 추구

 

2. 베센트 재무 장관의 목표

- "중국 경제는 소비를 늘리고 미국 경제는 제조업을 늘리는 크고 아름다운 재조정"
- 디커플링이 아닌 경제 관계의 리밸런싱 추구


 

관련 내용을 보면서 알게된 중국의 높은 저축률. 생각지도 못했다. 중국의 저축률이 이렇게 높을줄은.

GDP 의 49% 에 달하는 높은 가계 저축률이라니..

아마 믿을 수 없는 중국 정부? (사회보장 부족으로 인한 불안감) 때문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저축은 고소득층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미국 제품이 들어갈 경우 중국내에서의 높은 판매량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 

- 중국 소비시장은 개방돼도 외국 제품이 무조건 수혜를 보장받는 시장이 아님 (애국 소비 트렌드)

- 품질, 가격 경쟁력, 현지화 전략이 모두 맞아야 성공 가능성
- 고급, 프리미엄, 감성적 소비 영역에서는 여전히 글로벌 브랜드에게 기회가 있음

 

결국 미국 제품이지만, 중국 국민들을 자극할만한 그러한 제품을 시장에서 내놓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외국 브랜드의 중국 시장 성공 사례는?

1. 애플 : 세계 최대 아이폰 시장, 고급형 모델 판매 압도적

2. 테슬라: 2023년 중국 전기차 수입 판매 1위

3. 나이키, 아디다스 : 스포츠웨어 인지도 1~2위

4. 루이비통, 샤넬 : 중국 소비자 해외 명품 소비 세계 1위 수준

5. 스타벅스 :  미국식 라이프 스타일을 판매, 중국 현지 맞춤 메뉴

 

** 성공 외국 브랜드 공통 전략 

1. 중국 현지화 전략

2. 프리미엄 포지셔닝

3. 유통망 및 마케팅 최적화

 

** 외국 브랜드의 중국 시장 실패 사례는?

1. 이베이 (온라인 마켓) : 타오바오에 밀림, 미국식 경영 방식

2. 까르프 (대형 마트): 알리바바, 징둥등에 밀림. 온라인 유통 트렌드 적응 실패

3. 메이시스 (미국 백화점) : 중국소비자 이해 부족

4. 홈디포 (건자재 유통) : DIY 문화 부재

5. 베스트바이 (가전) : 가격 중식 중국 소비자 성향과 안맞음

 

** 실패 외국 브랜드 공통점

1. 중국 현지 소비자 문화 이해 부족

2. 중국 기업과 경쟁 실패

3. 정부 규제 및 정치적 리스크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