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국 법원, 트럼프 관세에 제동! (feat 글로벌 패션 수출)

경제, 투자, 환율, 국제 정세

by HellloJay 2025. 5. 31. 19:00

본문

** 미국 국제무역법원, 트럼프 관세 일부 중단
2025년 5월 29일, 미국 국제무역법원(CIT)은 트럼프가 IEEPA(국제긴급경제권한법) 을 근거로 부과한

**추가 관세(보복성 10%, de minimis 폐지 등)** 가 권한을 넘어섰다며 위헌 판결.

 

-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등 Section 232 / 301 근거 관세는 유효.
- 중국·홍콩발 소액 직구 (de minimis) 예외 폐지도 중단 대상에 포함.
- 항소법원에서 판결 정지 상태, 법적 공방 이어질 예정.

 

* 트럼프가 사용한 무역 제제 법적 근거 (IEEPA /  Section 301, 232)

** IEEPA (국제 긴급 경제권한법) 



 

** 미국 법원의 트럼프 관세 중단 판결 이후 패션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1 만약, 현재 법원 판결대로 유지될 경우.

- 글로벌 패션 제조업계는 일시적인 안도감

- 중국, 홍콩, 멕시코, 캐나다 등 일부 국가에 부과된 10% 보복관세와 de minimis 예외 폐지 정책이 중단됨.

 

1) 중국

- 중국 내 OEM 공장의 단가 경쟁력이 일부 회복

- 중국발 D2C(Direct-to-Consumer) 유통 채널이 다시 활성화될 가능성

 

2)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인도 등 FTA가 없는 동남아 생산국들

- 여전히 미국 수출 시 8~32% 수준의 기본 MFN 관세

- 가격경쟁과 납품단가 압박 속에서 운영을 이어가야 하는 현실

 

3) 글로벌 브랜드 

- 관세 리스크가 다소 완화된 국면

 

 

2. 만약, 항소에 따라 트럼프식 관세가 완전 부활한다면?

- 트럼프의 긴급 관세 조치가 전면 복원

- 패션 제조업계는 2018~2020년 무역전쟁 당시와 유사한 혼란 상황으로 빠질 가능성이 높아짐.

 

1) 중국

- Section 301 보복관세와 IEEPA 추가관세가 동시에 부활

- 중국 내 OEM 생산의 직접적인 단가 상승

- 글로벌 브랜드들은 공급망 (생산처) 재배치 비용, 품질관리 리스크, 납기 지연 등 추가적 부담이 불가피 해짐.

 

2)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생산국

- 한 지역이 아닌 여러 국가에 걸쳐 공급망 분산이 필요

- 디지털 재고 운영과 같이 실시간 반응에 맞춰 소량 단위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이 각 공장에 요구됨

>> 생산국 간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기술적 대응력 (디지털 연동 생산) 이 경쟁력의 핵심이 될 수 있음.

 

3)  미국 내 패션 리테일 업계

- 소비 여력 위축, 유통 채널 가격 상승, 재고 소진율 감소 등 타격 가능 

 

4) 글로벌 브랜드

- 중국내 생산 기지 의존할 경우 문제 심각

 

5) 제조업계 전반적

- 관세, 물류, 환율, 브랜드 전략까지 포함된 복합 리스크 국면

 

** 기사원문

US court blocks Trump’s sweeping tariffs | Retail Dive

 

US court blocks Trump’s sweeping tariffs

The Court of International Trade said the president overstepped his authority, halting various duties. After an appeal, the ruling has been paused.

www.retaildive.com

 

#미국관세

#트럼프무역정책

#베트남수출

#중국관세

#패션제조업

#미국무역법원

#IEEPA (국제비상경제권한법)

#가방관세

#미국수출리스크

관련글 더보기